2019 Mid-Season Invitational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Mid-Season Invitational
2018 Mid-Season Invitational2019 Mid-Season Invitational2020 Mid-Season Invitational
2019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팀
Royal Never Give Up파일:logo-lec.png
G2 Esports
대회 취소
2019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젠쯔하오
(RNG Uzi)
라스무스 뷘터
(G2 Caps)
대회 취소

파일:D67M2CMU8AAa3Tl.jpg

파일:2019_msi.jpg

파일:MSI_2019.png
2019 Mid-Season Invitational
대회 기간2019년 5월 1일 ~ 5월 19일
주최파일:라이엇 게임즈 로고(2019-2022).svg
주관
개최지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스폰서파일:마스터카드 로고(2016-2020).svg파일:alienware.png
파일:Secretlab 로고.svg파일:Secretlab 로고 화이트.svg파일:스테이트팜 로고.svg
조 추첨식2019년 4월 23일
참가팀13개 팀[1]
패치 버전9.8
경기장
[ 펼치기 · 접기 ]
경기장플레이-인 스테이지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GG 스타디움[1]
그룹 스테이지
파일:베트남 국기.svg 하노이 국립 컨벤션 센터
녹아웃 스테이지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베이 헤핑 농구 경기장

[1] 리그 오브 레전드 베트남 리그인 VCS의 경기장이다.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파일:SBS AfreecaTV 로고.svg [1]
온라인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oksusu_only_logo.png
중계진캐스터
전용준, 성승헌
해설자
강승현, 김동준, 이현우
프리뷰 쇼
김민아, 하광석, 홍민기, 강형우
통역 및 인터뷰어
박지선

일정
[ 펼치기 · 접기 ]
플레이-인
스테이지
그룹
5월 1일~5월 5일
녹아웃
5월 6일~5월 7일
그룹
스테이지
5월 10일~5월 14일
녹아웃
스테이지
4강
5월 17일~5월 18일
결승
5월 19일

대회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logo-lec.png G2 Esports
준우승파일:logo-lcs.png Team Liquid
결승 MVP라스무스 뷘터 (G2 Caps)


1. 개요
2. 참가팀
3. 일정
4. 경기 진행
6. ESPN 선정 랭킹
6.1. TOP 20 플레이어
6.2. 팀 파워 랭킹
7. 공식 영상
7.1. 공식 테마곡: Bring Home the Glory
7.2. 로그인 테마
7.3. Represent (대표)
7.4. The Penta
8. 기념 스킨
8.1. 정복자 알리스타(Conqueror Alistar)
9. 사건사고
10. 여담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RepresentMoments & Memories | 2019 MSI 최고의 순간들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19일까지 베트남대만에서 개최된 제5회 Mid-Season Invitational. 2023년 현재 비 한국, 중국 지역의 이 우승한 유일한 대회이다.


2. 참가팀[편집]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파일:LPL_White.png LPL파일:LCK white.png LCK파일:lec 심볼.svg LEC파일:2019_lcs.png LCS파일:LMS White.png LMS
파일:logo-lpl.png파일:logo-lck.png파일:logo-lec.png파일:logo-lcs.png파일:logo-lms.png
Invictus Gaming[2]SK telecom T1[3]G2 Esports[4]Team Liquid[5]Flash Wolves[6]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파일:TCL_white.png TCL파일:VCS_white.png VCS파일:sea tour white logo.pngLST파일:LCL_white.png LCL
파일:logo-tcl.png파일:phong vu baffalo.png파일:logo-lst.png파일:logo-lcl.png
1907 Fenerbahçe Espor[7]Phong Vũ
Buffalo
[8]
MEGA[9]Vega Squadron[10]
파일:LJL_white.png LJL파일:LLA_white.png LLA파일:CBLOL_white.png CBLOL파일:OPL_white.png OPL
파일:logo-ljl.png파일:logo-lla.png파일:logo-cblol.png파일:logo-opl.png
DetonatioN
FocusMe
[11]
Isurus Gaming[12]INTZ e-Sports[13]Bombers[14]

2.1. 로스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9 Mid-Season Invitational/로스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일정[편집]


파일:20190128152156_MkeR0sOw.jpg
진행 방식 안내

||
플레이-인그룹
(5/1 ~ 5/5)
녹아웃
(5/6 ~ 5/7)
그룹1라운드
(5/10 ~ 5/12)
2라운드
(5/12 ~ 5/14)
녹아웃4강
(5/17 ~ 5/18)
결승
(5/19)
결산




4. 경기 진행[편집]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phong vu baffalo.png
PVB52TB
2
파일:logo-tcl.png
FB43TB
3
파일:logo-lla.png
ISR24-
파일:logo-opl.png
BMR24-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lcl.png
VEG51-
2
파일:logo-ljl.png
DFM42-
3
파일:logo-lst.png
MG24-
4
파일:logo-cblol.png
ITZ15-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ogo-lpl.png
IG911R 전승
2
파일:logo-lck.png
SKT73-
3
파일:logo-lec.png
G255-
4
파일:logo-lcs.png
TL46-
5
파일:logo-lms.png
FW37-
6
파일:phong vu baffalo.png
PVB28-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2019 Mid-Season Invitational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4강
그룹 1위
그룹 4위
그룹 2위
그룹 3위
파일:logo-lpl.png파일:logo-lcs.png파일:logo-lck.png파일:logo-lec.png
IGTLSKTG2
1323
결승
파일:logo-lcs.png<gold,#7f6b00> 파일:logo-lec.png
TLG2
03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MSI 우승




5. 총평 및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9 Mid-Season Invitational/결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ESPN 선정 랭킹[편집]



6.1. TOP 20 플레이어[편집]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최종 성적
1강승록TheShy파일:logo-lpl.png파일:Top_icon_msi.png
TOP
4강 탈락
2송의진Rookie파일:logo-lpl.png파일:Mid_icon_msi.png
MID
4강 탈락
3이상혁Faker파일:logo-lck.png파일:Mid_icon_msi.png
MID
4강 탈락
4박진성Teddy파일:logo-lck.png파일:Bot_icon_msi.png
BOT
4강 탈락
5마르틴 한센Wunder파일:logo-lec.png파일:Top_icon_msi.png
TOP
우승
6라스무스 뷘터Caps파일:logo-lec.png파일:Mid_icon_msi.png
MID
우승
7조용인CoreJJ파일:logo-lcs.png파일:Support_icon_msi.png
SPT
준우승
8김태민Clid파일:logo-lck.png파일:Jungle_icon_msi.png
JGL
4강 탈락
9가오전닝Ning파일:logo-lpl.png파일:Jungle_icon_msi.png
JGL
4강 탈락
10조세형Mata파일:logo-lck.png파일:Support_icon_msi.png
SUP
4강 탈락
11위원보JackeyLove파일:logo-lpl.png파일:Bot_icon_msi.png
ADC
4강 탈락
12루카 페르코비치Perkz파일:logo-lec.png파일:Bot_icon_msi.png
ADC
우승
13왕리우이Baolan파일:logo-lpl.png파일:Support_icon_msi.png
SUP
4강 탈락
14김동하Khan파일:logo-lck.png파일:Top_icon_msi.png
TOP
4강 탈락
15니콜라이 옌센Jensen파일:logo-lcs.png파일:Mid_icon_msi.png
MID
준우승
16마르친 얀코프스키Jankos파일:logo-lec.png파일:Jungle_icon_msi.png
JUG
우승
17일리양 펭Doublelift파일:logo-lcs.png파일:Bot_icon_msi.png
ADC
준우승
18팜민 로크Zeros파일:phong vu baffalo.png파일:Top_icon_msi.png
TOP
그룹 스테이지 탈락
19무라세 슌스케Evi파일:logo-ljl.png파일:Top_icon_msi.png
TOP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탈락
20제이크 푸체로Xmithie파일:logo-lcs.png파일:Jungle_icon_msi.png
JGL
준우승
원문


6.2. 팀 파워 랭킹[편집]


순위지역시작 스테이지결과
1Invictus GamingLPL
중국
그룹4강 탈락
2SK telecom T1LCK
한국
그룹4강 탈락
3G2 EsportsLEC
유럽
그룹우승
4Team LiquidLCS
북미
플레이-인 녹아웃준우승
5Phong Vũ BuffaloVCS
베트남
플레이-인 그룹그룹 스테이지 6위
6Flash WolvesLMS
대만·홍콩·마카오
플레이-인 녹아웃그룹 스테이지 5위
71907 FenerbahçeTCL
터키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2위
8DetonatioN FocusMeLJL
일본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2위
9INTZ e-SportsCBLOL
브라질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4위
10Isurus GamingLLA
라틴아메리카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공동 3위
11Vega SquadronLCL
독립국가연합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탈락
12MEGALST
동남아시아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3위
13BombersOPL
오세아니아
플레이-인 그룹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공동 3위
원문


7. 공식 영상[편집]



7.1. 공식 테마곡: Bring Home the Glory[편집]



There is no time for redemption
구원을 위한 시간은 없어
Those flags you wave, will they hold up?
네가 흔드는 그 깃발들, 그것들이 견뎌낼까?
Don't cry for your vengeance
복수를 울부짖지마
It's right there to take if you want it
만약 네가 원하다면 바로 그곳에서 복수할 수 있어
The world is watching
세계가 지켜보고 있어
Here's your judgement
이곳에서 너의 심판이 있을지니
Here's reckoning
이곳에서 결판이 나리
Write your story down into history
역사에 너의 이야기를 새겨라
Pride and country
긍지와 국가
You could have everything
넌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어
So bring home the glory alive
그러니 살아 고향 앞에 영광을 바쳐라
Go and rise for your nation
가서 조국을 위해 일어나라
There's so much at stake, will you show up?
너무나 많은 게 걸려 있는데, 너는 올 것인가?
Oh, it's about damned time for a little salvation
오, 잠깐의 구원을 위한 빌어먹을 때가 왔어
Those flags you wave, represent them
네가 휘날리는 깃발은, 저들을 대표하지
The world is watching
세계가 지켜보고 있어
Here's your judgement
이곳에서 너의 심판이 있을지니
Here's reckoning
이곳에서 결판이 나리
Write your story down into history
역사에 너의 이야기를 새겨라
Pride and country
긍지와 국가
You could have everything
넌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어
So bring home the glory alive
그러니 살아와 조국 앞에 영광을 바쳐라
Here's your judgement
이곳에서 너의 심판이 있을지니
Here's reckoning
이곳에서 결판이 나리
So go and bring home the glory alive
그러니 가서 살아와 조국 앞에 영광을 바쳐라
Here's your judgement
이곳에서 너의 심판이 있을지니
Here's reckoning
이곳에서 결판이 나리
Write your story down into history
역사에 너의 이야기를 새겨라
Pride and country
긍지와 국가
You could have everything
넌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어
So bring home the glory alive
그러니 살아 조국 앞에 영광을 바쳐라


7.2. 로그인 테마[편집]



이번 2019 MSI 로그인 화면은 위의 2019 MSI 공식 테마곡 'Bring Home The Glory'와 같은 음악을 사용한다.


7.3. Represent (대표)[편집]









7.4. The Penta[편집]






8. 기념 스킨[편집]



8.1. 정복자 알리스타(Conqueror Alistar)[편집]


파일:alistar_Conqueror.jpg
가격975RP
(한정판)
동영상#
2019 Mid-Season Invitational 기념 스킨으로 나오는 정복자 스킨 시리즈의 일원이다. 9.9 패치 기간 중 추가되었다.


9. 사건사고[편집]


대만 1부 리그인 LMS를 주최하는 가레나 공식 트위치 채널에서 MSI 중계 전 도박 사이트를 이용하는 모습이 송출됐다. 자세한 내용은 LMS 문서의 승부조작 논란 문단 참고.


10. 여담[편집]





















11. 둘러보기[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8:16:56에 나무위키 2019 Mid-Season Invitational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미 지역 리그였던 Liga Latinoamérica Norte(LLN)와 Copa Latinoamérica Sur(CLS)가 Liga Latinoamericana(LLA)로 통합되면서 지난 시즌보다 한 팀이 줄어들었다.[2] 3:0 vs JD Gaming[3] 3:0 vs Griffin[4] 3:0 vs Origen[5] 3:2 vs Team SoloMid[6] 3:0 vs MAD Team[7] 3:0 vs Bahçeşehir SuperMassive[8] 3:1 vs EVOS Esports[9] 3:0 vs Team Empire[10] 3:1 vs Element Pro Gaming[11] 3:0 vs Unsold Stuff Gaming[12] 3:1 vs Rainbow7[13] 3:2 vs Flamengo eSports[14] 3:0 vs ORDER, 여담으로 ORDER는 정규시즌 5위로 플레이오프 가장 밑바닥부터 모든 경기를 이기고 여기까지 올라왔다가 셧아웃으로 깨졌다.[15] 첫번째는 2016 MSI(중국).[16] 참고로 에일리언웨어는 LCK를 제외한 4대 리그의 모니터, 장비 스폰서를 맡고 있다.[17] Jjun(권준석), PoP(하민욱)[18] Mimic(민주성), BalKhan(최현진)[19] Steal(문건영), Gaeng(양광우)[20] Ruin(김형민)[21] Impact(정언영), CoreJJ(조용인)[22] Bugi(이성엽), Rather(신형섭)[23] Duke(이호성), TheShy(강승록), Rookie(송의진)[24] 결승 진출.[25] 4강 탈락. 다만 유력한 우승후보였던 RNG를 8강에서 떨어트렸다.[26] 2018 롤드컵에서 세체미 후보급이라고 평가받던 캡스가 루키에게 상상 이상으로 처참하게 발렸기 때문에 IG는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그리고 롤드컵에 나오지도 못한 SKT는 G2보다 아래라는 평가가 대부분.[27] 플레이-인 리그 지역팀들 중 MSI 출전 경험이 있는 팀은 Isurus Gaming뿐이다. 다만 MEGA는 전년도 킹존과 비슷하게 이름만 신생팀이지 전년도 MSI에 출전했으나 해체된 어센션 게이밍의 선수들을 대거 영입했기에 사실상 베테랑 팀이다.[28] 대표적으로, 2017년과 2018년에 출전한 LJL의 PENTAGRAM이 해체되고 OPL의 Dire Wolves가 극도의 부진에 빠지며 DetonatioN FocusMe와 Bombers가 새롭게 MSI에 합류하게 되었다.[29] 이후 5일차의 마지막 경기에서 SKT가 IG를 상대로 킬 스코어 18 대 4, 골드차 13000 등으로 압도하는 모습을 보이며 어느 정도 설욕하는데는 성공했다.[30] 2015 MSI의 EDG의 경우에는 폰과 데프트가 한국인이었고 2018 MSI의 RNG의 경우에는 감독(손대영)이 한국인, 2018 롤드컵의 IG의 경우 더샤이와 루키가 한국인이었다.

관련 문서